직위 |
교수 |
---|---|
연락처 | baummensch@naver.com |
최종학위 |
철학박사(서울대학교 종교학과) |
전문분야 |
조선시대 문화(예학 및 종교학) |
주요 연구분야: 조선시대 문화(예학 및 종교학), 한국유교, 한국종교사, 조선시대 일기, 향약과 계, 유서(類書), DB, 만화, 영성, 명상예술, 영화, 문화콘텐츠, 문화산업, 인문활동
강의: 종교와 영화(핵심교양 강의), 인문학과 문화산업 (인문학과문화산업 융합전공 강의)
문화콘텐츠의 이론과 실제, 문화산업론, 문화브랜딩개론, 응용문화학의 이론과실제 (대학원 영상문화학협동과정 강의) 문화산업과동아시아인문학의이해, 문화산업과 미디어 총론, 만화산업연구, 동아시아문화콘텐츠비평(대학원 인문학과동아시아문화산업협동과정 강의)
- 한국근현대유학사상연구총서 (7권) 프로젝트, 한국국학진흥원, 2024. 3. - 2025. 3.(공동)
- 2022년 방과 후 인문 교실 운영, 한국출판문화진흥원, 2022.6.-2022.12.(책임)
- 노론의 철학과 그 지형도, 2022년 한국학기초연구 공동연구과제,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1.-2022.12.(공동)
- 2021년 이원영목사 자료 고문서심층연구포럼, 한국국학진흥원, 2021.3.-2021.12.(공동)
- 2021 정선 나비캠퍼스 교육, 정선도시재생지원센터, 2020.12.-2021.12(공동)
- 2020년도 국학자료 심층연구 <모당일기> 일기포럼, 한국국학진흥원, 2020.3.-2020.12.(공동)
- 주어사(走魚寺)의 종교문화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연구, 아리담문화원, 2019.6-2020.4(공동)
- 2018 도서관 <길위의 인문학>사업 장기 발전 방안 연구, (사)한국도서관협회, 2018.11~ 2018.12.(공동)
- 유교 문화 콘텐츠 활용 사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8. 6~2018. 10.(공동)
- 인문활동가 양성 및 파견사업, 문화체육관광부, 2017.9~2018.4.(사업실무책임)
- 조선시대 유서 기반 DB 및 지식지도 연구(토대연구지원사업), 한국학진흥사업단, 2016.9 ~2019.8. (연구책임자)
- 2016년도 국학자료 심층연구 <매원일기> 일기포럼, 2016.3.-2016.12.(공동)
- HK성과확산총괄센터운영지원사업(정책연구), 한국연구재단, 2014.9.~2017.8. (공동)
- 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전략, 2014 한류 융합과제 연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4.6.-2014.12.(책임)
- 한류3.0과 문화글로컬화의 인문학적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6. -2014. 12.(공동)
- 한국문화의 동역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인문한국(HK)사업 수행, 한국연구재단, 2013.3.-2017.8.(전임)
- 조선의 인문학마을과 한국의 미래, 2014 글로벌 한국적 가치와 문명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4.-2016.12.(공동)
- 노년의 행복: 내고장 문화해설사, 시민인문강좌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2013.9.-2014.8.(공동)
- 2013년도 국학자료 심층연구 <계암일록> 일기포럼, 2013.3.-2013.12.(공동)
- 삶의 기술로서의 철학: <격몽요결> 연구, 2013년도 한국문화심층연구 공동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3.-2013.12.(공동)
- 한국문화유전자 발굴 및 확산사업, 한국국학진흥원, 2012.3.-2012.12.(책임)
- 구암서원 건립 복원 추진을 위한 구암서원 건축물 관련 고증 용역, 강동구청, 2012.4.-2012.12.(책임)
- 불교문화콘텐츠 진흥전략과 과제, 불교문화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및 스토리뱅크 구축,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 2010.11.-2011.4.(공동)
- 문화재 유형별 활용 프로그램 및 실행 가이드라인 개발 용역, 한국문화전략연구소, 문화재청, 2010.5.-2010.12.(공동)
- 종교문화콘텐츠성공사례조사연구, 한국종교문화원형활용콘텐츠시범사업, 한국종교문화연구소, 문화체육관광부, 2009.12-2010.6(공동)
- 다산학사전 편찬사업, 다산학술문화재단, 한국연구재단, 2009-2014.(참여)
- 종교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문화체육관광부, 2008.8.-2009.1.(공동)
- 여유당전서 정본사업, 국학기초자료사업, 다산학술문화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6.-2012.2.(공동)
- 우암자료 집성 및 정본화사업,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토대연구-일반과제), 학술진흥재단, 2007.8.-2010.7.(전임)
- 디지털성남문화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사업,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6.-2005.2.(참여)
7) 2007.9~2010.8 충북대 우암연구소 전임연구원
<역주 춘추고징>, 서울: 도서출판 사암, 2025(번역).
<한강 정구의 심학과 예학>, 한강학연구원 엮음, 서울: 역락, 2024.(공저)
<자남선생문집>,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2024.(해제)
<일일재선생문집>,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2023.(해제)
<東方文化與禮儀>, 北京: 宗敎文化出版社, 2023.(중국어, 공저)
<봉경 이원영: 민족적 대의와 기독교 신앙을 품은 독립운동가의 생애>, 은행나무, 2022.(공저)
<고령군지 3: 사상과 민속>, 고령군지편찬위원회, 2022, 제3편 종교편의 1, 3-6장 집필(공저)
<한국 문화의 정체성>,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1.(공저)
<모당일기: 임진왜란 이후 대구 지역 사림의 형성과 삶의 모습>, 은행나무, 2021.(공저)
<직업, 보람과 즐거움의 이중주>, 은행나무, 2021.
<천곡 송상현의 학문과 사상>, 국학자료원, 2020.(공저)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 -종교와 영화의 세계->,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국역 성재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9(해제)
<다산 필사본 연구>,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음, 도서출판 사암, 2019(공저)
<다산학사전>,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음, 도서출판 사암, 2019(공저)
<2018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장기 발전 방안 연구 -'지혜학교'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문화전략연구소, 2018(공저)
<군위군지> 상권, 3부 5편 종교의 제1장 군위의 종교, 군위군 군위문화원, 2018(공저)
<국역 매원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8(해제)
<간재 이덕홍의 학문과 사유세계>, 한국국학진흥원, 2018(공저)
<외내에 심은 연꽃, 오백년 향기를 남기다>, 광산김문 탁청정파 도록 편집위원회, 2018(공저)
<지하철을 탄 서울사>, 서울역사강좌 5, 서울역사편찬원, 2018(공저)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공저)
<양동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공저)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 -17세기 '매원일기'를 중심으로>, 새물결, 2017(공저)
<교육과 성리학>, 학지사, 2017(공저)
<조선 유학의 이단 비판 -이학집변을 중심으로>, 새물결, 2016(공저)
<성호 이익의 심경질서>, 사람의무늬, 2016(공역)
<東方文化與醫道>, 北京: 宗敎文化出版社, 2016(중국어, 공저)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 소명출판, 2016(편저)
<다산 정약용의 풍수집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사람의무늬, 2015(번역)
<조선 후기 사족과 예교질서>, 소명출판, 2015.(편저)
<죽음의 풍경을 그리다 -한국적 생사학을 위하여>, 모시는사람들, 2015.(공저)
<한류3.0과 문화 글로컬화의 인문학적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공저)
<2014 한류 융합과제 연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4(공저)
<일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사 -계암일록을 중심으로->, 새물결, 2014.(공저, 2015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청대 만주족의 샤먼 제사 -제사전서무인송념전록 역주>, 소명출판, 2014.(공역)
<귀신 요괴 이물의 비교문화론>, 소명출판, 2014.(공저)
<퇴계학과 근기실학>, 실학박물관, 2014.(공저)
<서울의 제사, 감사와 기원의 몸짓>, 서울시사편찬위원회, 2013.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공저, 2013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주교요지>, 한국고동신학연구원(KIATS), 2012.(편서)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글항아리, 2011.
<21세기 네트워크 시대의 기독교적 추모예식 연구>, CUP, 2011.(공저)
<한국유학사상대계10: 종교사상편>, 한국구학진흥원, 2010.(공저)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 -한국인의 생사관과 만화적 상상력>,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0.
<문화재 유형별 활용 길라잡이>, 문화재청, 2010.(공저)
<역주 국조전례고>, 심산출판사, 2010.(역서,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후묵상>, 한국고등신학연구원(KIATS), 2010.(편서)
<무궁화 선비 남궁억>, 한국고등신학연구원(KIATS), 2010.(편서)
<정본 여유당전서> 전37책 중 14책 <춘추고징>, 18-20책 <상례사전>, 21책 <상례외편>, 22책 <상의절요, 제례고정, 가례작의, 예의문답, 풍수집의> (표점교감서)
<정본 주자어류소분>, 전4권, 심산출판사, 2010.(편서)
<성산명경>, 한국고등신학연구원(KIATS), 2010.(편서)
<유교와 종교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공저,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신구문화사, 2008(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역주 시경강의>, 전5권, 도서출판 사암, 2008(공역서,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제사와 제례문화>, 한국국학진흥원, 2005.(공저)
<성남시사>, 제1권, 성남시사편찬위원회, 2004.(공저)
<퇴계서분류색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공저)
2. 국내 학술지 논문
김아타의 영성예술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종교와 문화>47 ,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24.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행복한 향촌 생활의 구상 -<예규지>·<이운지>·<향례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10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24.
한국적 종교영화의 세계, 기독교사상 783, 대한기독교서회, 2024년 3월호
통화색론(通貨色論)적 관점에서 본 조선 후기 유교 지식인들의 천주교 비판, 종교와 문화 45,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23.
한국 대학들의 <종교와 영화> 강좌 운영의 역사와 특색, 종교연구 83-1, 한국종교학회, 2023.
현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표상되는 괴물의 시각적 이종성과 혼종성, 종교문화비평 43,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Book Review -The Landscape of Old Age," Classical Korean Studies vol.3, 2022 winter, 93-114.
신선사상으로 본 동학과 증산도, 민족문화연구 9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22.
봉경 이원영 목사의 종교관과 설교에 나타난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국학연구 47, 한국국학진흥원, 2022.
"The Korean Translation of Gyeamilrok(Gyeam Record) Opens a Treasure Trove of the Life Histo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Classical Korean Studies vol.1, 2021 winter, 43-82.
조선시대 사족(士族) 일상생활의 유교적 의례화 양상, 대순사상논총 39, 대진대 대순사상학술원, 2021.
정약용이 제시한 19세기 향촌 사대부의 삶 -청족(淸族)의 열복(熱福)과 유인(幽人)의 청복(淸福)-, 다산과 현대 14,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1.
가장본 <춘추고징>과 <민보의>의 문헌적 검토, 다산학 39, 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유한의 형상에서 무한의 존재로 -이형곤 추상화의 종교적 해석-, 민족문화연구 93,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21.
'서발턴'(Subaltern)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생 신종교 사상 -수운, 증산, 소태산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7, 대진대 대순사상학술원, 2021.
<모당일기>에 나타난 17세기초 대구 사림의 강학활동과 강회, 국학연구 44, 한국국학진흥원, 2021.
풍류(風流)로 보는 한국종교의 에토스, 민족문화연구 8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20.
불화와 화해의 영화적 변주곡 -한국 영화 <곡성>, <밀양>, <만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41, 한국국학진흥원, 2020.
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 대순사상논총 33, 대진대 대순사상학술원, 2019.
가족종교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종교문화, 민족문화연구 8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9.
천곡 송상현의 사상과 <천곡수필>, 국학연구 38, 한국국학진흥원, 2019.
현대 영화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상상력 -<라이프 오브 파이>와 <셰이프 오브 워터>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1, 한신대 종교와문화연구소, 2018.
한국의 뇌신(雷神) 신앙과 술법의 역사적 양상과 민족종교적 의미, 대순사상논총 31, 대진대 대순사상학술원, 2018.
웰빙시대 단군 문화콘텐츠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 39, 한국신종교학회, 2018.
조선 후기 종교가사의 문화적 이해, 종교연구 78-2, 한국종교학회, 2018.
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문화콘텐츠 전략 -K-Comics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36, 한국국학진흥원, 2018.
조선시대 類書류 연구방법론과 디지털인문학 -지식학적 접근과 지식지도 구상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35, 한국실학학회, 2018.
19-20세기 청도 밀양박씨의 향약과 계, 종교와 문화 34,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18.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예학禮學 -역학易學적 사유의 적용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34, 한국국학진흥원, 2017.
조선 중기 광산 김씨 예안파의 의례 실천과 일상 생활 -<계암일록>과 <매원일기>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소남 윤동규의 예학연구와 의례생활, 장서각 3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임진왜란시 도교 술법(術法)의 수용의 양상 -정탁의 <약포선조유묵>을 중심으로-, 종교와문화 31,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16.
성리학과 현대교육 -교육의 신비에 대한 영성적 접근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60, 한국교육철학회, 2016.
조선 후기 유교적 벽이단론의 스펙트럼, 종교연구 76-3, 한국종교학회, 2016.
조선시대 예안 광산김씨의 친족활동 -계회(契會)와 성회(姓會)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30, 한국국학진흥원, 2016.
<서유기>의 신화적 콘텐츠 변용 양상 연구―MSMU의 콘텐츠 융합-최적화 전략―, 종교문화연구 26,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들의 벽이단론(闢異端論) -온건한 포용주의에 대한 재평가-, 철학연구 138, 대한철학회, 2016.
예교 문화의 관점에서 본 조선과 중국, 국학연구 28, 한국국학진흥원, 2015.
조선 후기 예교적 시선의 변주와 변화, 태동고전연구 35, 태동고전연구소, 2015.
조선 전기 예학사상과 실천적 양상, 안동학 14, 한국국학진흥원, 2015.
종교적 폭력과 종교제국주의, 불교평론 62, 2015년 여름.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과 친족의식, 민족문화연구 6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4.
일상의 성화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 31, 충남대 유학연구소, 2014.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 국학연구 24, 한국국학진흥원, 2014.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종교문화연구 22, 종교와문화연구소, 2014.
성호학파의 친족의식과 의례생활 -광주안씨 종계를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6, 한국실학학회, 2013.
다산의 <논어> 주석서 전승에 대한 연구, 다산학 23, 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조선 후기 예론의 성격과 전개 양상, 한국학연구 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다산 예학의 경세론적 성격, 한국실학연구 24, 한국실학학회, 2012.
한강 정구의 예론과 예설, 태동고전연구 29, 태동고전연구소, 2012.
조선 후기 유교적 가족질서의 확산과 의례적 양상 -입후와 입양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132, 퇴계학연구원, 2012.
다산 예집禮集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다산학 20,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퇴계 예학과 근기 실학자의 예학 -퇴계, 성호, 다산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1, 한국국학진흥원, 2012.
종교경관의 전통과 현대: 안동과 성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18, 종교와문화연구소, 2012.
성물과 부적: 접촉과 염원의 종교문화, 종교문화비평 21, 한국종교문화비평학회, 2012.
이야기에서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의례로, 종교문화비평 20, 한국종교문화비평학회, 2011.
다산 정약용의 <독례통고> 초탐, 한국실학연구 21, 한국실학학회, 2011.
문화유산에서 문화콘텐츠로: 유교문화원형의 현황과 활용, 국학연구 18, 한국국학진흥원, 2011.
명재 윤증의 예학사상: 무실과 예송관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37, 한국고전번역원, 2011.
금기와 욕망의 변증법: 광고와 성스러움의 소비, 종교문화비평 19,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1.
몰입, 종교문화와 대중문화를 녹이다, 종교문화연구 15, 한신인문학연구소, 2010.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 17, 한국국학진흥원, 2010.
조선 후기 <독례통고>의 수용과 영향, 한국실학연구 20, 한국실학학회, 2010.
화폭에 담은 자연, 자연에 새긴 종교적 이념, 종교문화비평 18,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0.
표점과 현토의 비교분석, 민족문화 35, 한국고전번역원, 2010.
의례적 계승인가? 사회적 구휼인가? -입후와 입양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논의-, 다산학 16,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만화에서 신화와 역사는 어떻게 만나는가?, 종교문화비평 1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9.
우암학파의 <주자어류소분>에 대한 연구, 역사와담론 53, 호서사학회, 2009.
16-7세기 예문답을 통해 살펴본 퇴계와 퇴계학파 예학에 대한 재평가, 퇴계학보 125, 퇴계학연구원, 2009.
신앙원리와 문화역량의 변주곡: 한국유교의 종교문화적 양태, 국학연구 14, 한국국학진흥원, 2009.
종교와 마음 -인지종교학의 주제와 경향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24, 중앙철학연구소, 2008.
종교와 만화: 한국만화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53, 한국종교학회, 2008.
한국적 이미지의 인드라망(Indra's net), 영상문화 13, 한국영상문화학회, 2008.
<민보의> 필사본에 대한 연구, 다산학 12, 다산학술문화재단, 2008.
무엇이 게임플레이를 지속시키는가, 게임산업저널 17, 한국게임산업진흥원/KAIST문화기술대학원, 2007.
정약용 저 <국조전례고> 역주4, 태동고전연구 23, 태동고전연구소, 2007.
다산 예론의 실천적 함의, 한국실학연구 13, 한국실학학회, 2007.
다산의 제사관 -목민심서 예전 제사조를 중심으로-, 다산학 9, 다산학술문화재단, 2006.
정약용 저 <국조전례고> 3, 태동고전연구 22, 태동고전연구소, 2006.
영화가 종교를 만났을 때 -김기덕의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44, 한국종교학회, 2006.
만화와 신화의 경계를 넘어서 -이현세의 <천국의 신화>를 중심으로, 한신인문학연구 6, 한신인문학연구소, 2005.
정약용 저 <국조전례고> 2, 태동고전연구 21, 태동고전연구소, 2005.
대화의 광장으로 열린 길; 박흥용의 만화관과 작품세계, 게간만화 2004년 가을호, 2004.
정약용 저 <국조전례고> 1, 태동고전연구 20, 태동고전연구소, 2004.
생사의 역설과 한국만화의 스펙트럼, 계간만화 2004년 봄호, 2004.
삶과 죽음의 토폴로지: 최근 한국만화의 새로운 흐름, 한신인문학연구 4, 한신대 학술원 인문학연구소, 2003.
연금술적 상상력과 제의적 영화체험: <박하사탕>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4, 한신대 인문학연구소, 2003.
종교에 대한 인간주의적 접근과 종교학적 환원: D. Pals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와문화 9,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03.
<국조전례고>에 나타난 다산 정약용의 예론, 한국사상사학 16, 한국사상사학회, 2001.
조선시대 전례논쟁에 대한 재평가 -입승대통의 전례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11,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척사윤음 연구, 종교학연구 18,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1999.
인조대 전례논쟁(1623-1635)에 대한 종교학적 재평가, 종교학연구 17,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1998.
3. 해외 학술지 논문 및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외국어)
"朝鲜时代士族日常生活的儒敎仪礼化形态", 2021東亞人文國際論壇 -東方文明與禮儀國際學術研討會-, 北京大學, 2021. 8.
"Confucian Spirituality and Mysticism", Confucian Spirituality in the East Asian Context, International Workshop for JKR(Jan 2018).
"Are Shaman Paintings Material Religion or Religious Art?", Cross-Currents: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al Review, E-Journal No. 25(December 2017): 187-198.
"朝鮮後期對讀禮通考的接受及其影嚮", <<國際漢學>> 3期, 2015.
"朝鮮後期儒家的養生思想硏究 -以徐命膺的<參同攷>和<道德之歸>爲中心-", 2014 東亞人文論壇 -東方文化與養生-, 北京大學, 2014. 8.
"韓國宗敎文化的力動性理解", 宗敎與文化原型國際學術大會, 臺灣長榮大學, 2014. 4.
"A ritual succession or a social relief? -Tasan's discourse on adoption and fosterage in the late Chosun period-”, Society and Culture in Tasan's time in Korea and in East Asia(1762-1836), The 5th Biennial Tas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INaLCO), Masion de l'Asie, Paris, 2009. 10.
"生と死のトポロジ-: 韓國の現代漫畵テキストに見られる新傾向", 제2회 한일종교연구FORUM 국제학술대회, 京都, 日本, 2003. 8.
4. 기타(평론, 에세이, 교재)
"자현의 예술, 자연의 영성, 자유의 미학 -<무위의 풍경2>의 삼자 풍경-", 이형곤 초대전 <무위의 풍경2> 미술평론, 장은선갤러리, 2023. 9. 6. - 9. 22.
"직업(職業), 그 오래된 미래", <웹진 담談> 108, 한국국학진흥원, 2023. 2.
<2022 방과후 인문교실 운영용역 결과보고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2. 12.
"베이비부머 "간소화" vs. MZ세대 "없애자" ... 공감대 먼저", <중앙SUNDAY>, 2021년 9월 11일-12일자, 11면.
"번데기가 된 누에고치의 풍류(風流)", <무위의 풍경>, 2021 이형곤 개인전, 미술평론,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2021. 3. 31. - 4. 5.
"예(禮), 배려와 참여로 일구는 인간다움", <문화재사랑> 188호, 문화재청, 2020년 7월호, 4-5쪽.
"존재(存在)의 '떨림'에서 심재(心齋)의 '울림'으로", <떨림과 울림>, 8-9쪽,
"탁청정 가문의 가풍과 공동체활동 및 일상생활", <외내에 심은 연꽃 오백년 향기를 남기다>, 광산김씨 탁청정파 도록 편집위원회, 2018. 3.(단행본 속 논문)
<2018 인문활동가 양성 교재 본권 -보고서 및 기본공통->, 문화체육관광부, 2018. 4.(공공기관 교육 연수 교재)
"<신과 함께>, 문화콘텐츠로 되살아난 한국 신화", <월간 문화재> 386, 한국문화재재단, 2018. 2. 3., 18-21.
<박흥용 만화: 펜 아래 운율, 길 위의 서사> 공동집필, 2014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2014.5.30.-8.3.
5. 학위논문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에 대한 연구: 종교문화체계로서의 예(禮)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다산 정약용의 典禮論爭 비평에 대한 연구: <國朝典禮考>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인조대 전례논쟁(1623-1635)에 대한 종교학적 재평가,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학사학위논문, 1997.
- 2023년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종교와영화)
-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 -종교와 영화의 세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21. 7.
- 제4회 석탑연구상 수상, 고려대학교, 2019. 5.
- 제3회 석탑연구상 수상, 고려대학교, 2018. 5.
- 『일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사 -계암일록을 중심으로-』, 2015 세종도서 선정, 2015. 6.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2013. 6.
- 『역주 국조전레고』,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1. 6.
- 『유교와 종교학』,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0. 6.
- 『역주 시경강의』,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09. 6.
-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09. 6.
- 제9회 다산학술상 우수연구상 수상, 다산학술문화재단, 2008.12.
- <민족문화연구> 편집위원(현)
- <인문학연구> 편집위원(현)
- Classical Korean Studies 편집위원(현)
- <종교문화연구> 편집위원(전)
- <국학연구> 편집위원(전)
- <채널A> 시청자평가원(전)
- 인문콘텐츠학회 연구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