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지 수록 논문
●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민족문화연구>> 74,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2
● <이상은 선생의 ‘근대’ 연구와 ‘탈근대’의 전망>, <<한국 사상과 문화>> 82, 서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3
● “The Li-Ki Structure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and the Int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methods of explaining the theories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in Korean Neo-Confucianism,” Acta Koreana, Vol. 18 No. 2, Taegu: Academia Koreana at Keimyung University, Dec. 2015
● “Internalizing Morals and the Active Intervention of a Moral System: Zhu Xi and Yi Hwang’s theories of kyŏngmul (格物) and mulgyŏk (物格),”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 6 No.2, Seoul: Institute for the Study of Religion at Sogang University, Oct. 2015
● <退溪의 書院觀에 대한 철학적 해명>, <<퇴계학보>> 136, 서울: 퇴계학연구원, 2014.12
● <조선시대 지식생산체계 연구방법과 지식사회의 층위>, <<민족문화연구>> 65,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11
● “The Theory and Practice of Sage Politics: the political philosophies and Neo-Confucian bases of Yi Hwang and Yi I,” Acta Koreana, Vol. 17 No. 1, Taegu: Academia Koreana at Keimyung University, Jun. 2014
● <여주이씨·성호학파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민족문화연구>> 60,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8
● <근기실학의 학문 연원과 퇴계학의 학문 정신: 이익과 정약용의 퇴계학 계승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1,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2012.12
● <安東 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농암 김창협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56,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6
● <斯文亂賊 논란과 四書의 재해석: 박세당의 ‘思辨錄’과 김창협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63, 서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6
●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36, 서울: 한국동양철학회, 2011.12
● “A Reflection on the Values of Unification and Unification Philosophies,” Korea Journal, Vol. 51 No. 2,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Jun. 2011
● <天 개념의 이해와 事·物의 합리적 해석>, <<동양철학>> 34, 서울: 한국동양철학회, 2010.12